2018. 7. 4. 17:27
음악치료/상식
해당된다. 장소영(2011)은 소금을 더욱 쉽고 정확하게 학생들에게 이해시키고자 단
순히 기악 활동만을 위한 소금 수업만이 아니라 구체적 대안으로 ‘아리랑’ 과 ‘산도
깨비’를 통한 가창영역과 ‘수제천’과 ‘길’ 제재곡을 통한 감상영역을 통합하기 위한 수업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김한순(2013)은 아리랑의 음악교육적 가치 제고를 위해 변천과정을 살피고, 음악적 특징 분석과 교육과정별 아리랑 교육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통합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아름(2012)은 민요를 배움에 있어 가창 활동 영역뿐 아니라 가야금 악기를 활용한 기악영역 통합 수업지도안을 제시 하였다. 이를 수업에 실천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이세희(2013)는 학생의 흥미도를 제고 할 수 있는 수업 자료 선정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방안으로 통합 활동과 체험 활동을 제안하였다.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사회적·문화적·맥락화에 국악교 육을 접목 시켜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그는 구체적 국악수업 지도 방안으로
'음악치료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미적 경험’이다. “심미적 경험의 자족성, 주의집중, 감정이입, (0) | 2018.07.30 |
---|---|
대덕구 싼방 중리동 고시원 고시텔 원룸 ~ 전세가능!!한남대 북문/단기가능 공과금 무료~!! (0) | 2018.07.26 |
기록이 생산되고 활용되는 과정에 존재하는 비선형적이고 복합적인 맥락을 (0) | 2018.06.07 |
한정우는 사적인 경험이나 자기 모순적인 일상, 사회적인 충돌과 타협의 관계에 대한 드로잉 (0) | 2018.01.10 |
김종숙과 황인기는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를 차용하여 크리스탈을 (0) | 201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