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역사적·문화적·맥락화에 근거하여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연주형태, 연향악의 악곡 종류, 정재와 반주음악, 연향악과 고취악의 구별, 궁중과 민간의 정재 반주 악기 편성의 차이를 지도내용으로 제안하였다. 이정희(2013)는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종묘제례악 감상교육의 깊이를 위하여 각 요소의 특징과 내재한 상징을 파악하며각 요소의 특성과 원리를 고려하여 감상방법의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에 이춘 영(2000)은 현장에서 교사들이 단계별로 감상지도를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안을 제시하였다. 그는 제5차 개정 교육과정까지 감상 위주로 수업하던 것이 제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는 다양한 국악기, 가창곡을 감상뿐만 아니라 직접 연주하고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감상학습을 위한 수업모형도 제시하였다.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의 요소와 음악의 종류 및 역사적·사회 적·문화적 맥락에서 음악의 역할 및 가치를 폭넓게 이해하고 내면화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연구자는 맥락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지도안을 제안하는 연구를 통합 수업에 관한 연구로 분류하였다. 즉, 통합 수업에 관한 연구는 기악, 가창, 감상 영역을 총체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음악치료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실 연구가 몇 편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아직도 교육과정의 (0) | 2018.07.02 |
---|---|
솔섬(삼척)’이라고만 명시되어 있다. 저작권자의 성명표 시권을 지키지 (0) | 2017.12.20 |
잠깐영어/한번만 봐줘 착용만 해볼께 Give me a break . I was (0) | 2017.12.17 |
표절과 저작권침해가 비슷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는 하지만 구분이 필요한 이유는 (0) | 2017.11.03 |
대덕구 잠만주무실분 한남대 원룸 고시원 고시텔 싼방 용전동 저렴한방만 무료공과금 /저렴하고 부담없는방! 교통좋아요.! (0) | 2017.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