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정말 잘 될꼬양~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16. 11. 7. 01:00 카테고리 없음

4. 오행체질론
한의학의 기저에는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이란 이론체계로 사람과 자연의 현상을 설명하고 기(氣)의 변화와 움직임을 관찰한다. 한의학의 다양한 이론과 논쟁들은 음양오행론을 수용하는 가운데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므로 전통적 인 한의학의 이론은『황제내경』을 바탕으로 한 도가적(道家的) 배경이 토대 가 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69) 우주와 인체의 변화를 음양오행론적 방법 을 통하여 관찰과 예측이 가능하다는『황제내경』의 논리는 인상학에서 찰색 (察色)등의 상(相)을 보는 하나의 방법으로 이미 채택돼있다. 따라서 인간을 오행(五

 

行)으로 분류한 뒤 각각의 외부적인 특징을 정리하여,『황제내경』<靈 樞․陰陽二十五人>에서는 사람의 형상을 분석하여 설명하고 있다. 70) 그러나 근대의 조선말기 함흥 출신의 이제마(李濟馬1837∼1900)에 의하여 창안된 사 상의학(四象醫學)이 오행 대신에 주역의 태극(太極)에서 음양(양의兩儀)이 나 누이고, 다시 사상(四象)으로 구분되며 사상을 사장사부(四臟四腑) 71) 를 중심으 로 한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이제마의 독창적인 인물의 이름으로 논한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으로 사 상인이란 체질적 명칭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고, 병증(병인病因)의 이름으로 논 한 것은 장중경(張仲景)의 태양병, 소양병, 양명병, 태음병, 소음병, 궐음병 등 이 있다. 72)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음양오행과 오행체질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정신적 병인을 찰진하여 치유에 응용하고자 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먼저 음양오행의 속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69) 불교와 사상의학 연구회, 『불교의 마음챙김과 사상의학』, 서울, 운주사, p.250 70) 주선희,『東.西洋 人相學硏究의 比較와 人相管理에 대한 社會學的 考察』, 박사학위논문, 경희 대학교, 2004. p.41.
71) 사상의학의 원전에 해당하는『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는 폐비간신(肺脾肝腎)의 사 장(四臟)과 위완위소장대장(胃脘胃小腸大腸)의 사부(四腑)를 언급할 뿐 오행에 대한 내용은 없다. 하지만『동의수세보원사상초본권(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에는 “폐상목(肺象木), 비 상화,(脾象火), 간상금(肝象金), 신상수(腎象水)”와 같은 내용이 있으나, 기존 한의학의 장부 개념〔간(肝)-목(木), 심(心)-화(火), 비(脾)-토(土), 폐(肺)-금(金), 신(腎)-수(水)〕과는 다르 다. 박성식 역해,『동의수세보원사상초본권(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서울, 집문당, 2002, p.138.
72) 불교와 사상의학 연구회, 『불교의 마음챙김과 사상의학』, 서울, 운주사, p.252
- 35 -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