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정말 잘 될꼬양~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17. 1. 27. 12:58 카테고리 없음

다.
1905년부터 1910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다수의 성벽이 훼철되었는데, 그 배경으로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새로운 도로의 개설이었다. 이전에 비해 외부에서 유입된 인구의 증가와 교통수단의 발전으로 통행량이 많아졌다. 성곽은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성의 안과 밖을 이동하려면 좁은 성문을 통과해야했다. 점차 통행량이 많아졌고 교통이 혼잡해졌기 때문에 성벽을 허물고 새로운 도로를 수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또 일본군도 군사적인 목적으로 도로를 개수하려 했다. 둘째는 성벽을 훼철하여 나온 건축 자재를 사용하여 필요한 시설물을 축조하거나 자재를 팔아 자금을 얻고자 하는 것이 었다. 셋째는 이미 허물어져있는 성벽을 보수할 자금과 이유가 없었기 때문에 차라리 성벽을 제거하려는 것이었다. 아래의 표를 통해 지역별로 성벽이 훼철된 이유를 살펴 보겠다.
[표 2] 지역별 성벽 훼철 목적
지역 훼철 목적 지역 훼철 목적
서울
도로 축조(교통 혼잡 완화), 성벽 훼철 후 나온 자재 사용
부산진 성벽 훼철 후 나온 자재 사용
개성
도로 축조, 성벽 훼철 후 나온 자재 사용
평양
도로 축조, 성벽 훼철 후 나온 자재 사용 충주 성벽 훼철 후 나온 자재 사용 강계 성벽 훼철 후 나온 자재 사용
전주
도로 축조, 무너진 성벽의 보수가 어려움
의주 성벽 훼철 후 나온 자재 사용
광주
성벽 훼철 후 나온 자재 사용, ‘남한대토벌작전 29) ’시 의병 진압
동림진 (평안북도)
경의철도 개축
대구
도로 축조, 성벽 훼철 후 나온 자재 사용
함흥
도로 축조, 성벽 훼철 후 나온 자재 사용 진주 무너진 성벽의 보수가 어려움
출처 :大韓每日申報;帝國新聞;皇城新聞참조.
[표 2]를 보면 복합적인 이유로 성벽을 훼철한 지역이 다수로, 대부분 도로 축조와 훼철 후 나온 자재를 사용하고자 하였다.
29) ‘남한대토벌작전’은 일본군이 1909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2개월에 걸쳐 호남지역의 의병세력을 완전히 진압하기 위해 펼친 군사작전이다.
- 8 - 러일전쟁 이후(1905∼1910) 도성·읍성 성벽의 훼철  / 김혜미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한양대학교 대학원,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석사)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