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조현정팀장
정말 잘 될꼬양~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2017. 1. 26. 12:55 카테고리 없음
제1장 도성·읍성 성벽 훼철의 배경
제1절 훼철 이전 성곽의 현황
지역 문헌
증보문헌비고,
1908년
여재촬요,
1893년
17)
1
1
‘도성’은 한 나라의 수도(首都)를 둘러싼 성곽으로 군사적인 목적 외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읍성’은 지방의 부, 군, 현 등의 행정관서가 마련된 고을에 유사시에 외적을 대비하고, 행정적 편의를 위해 마련한 성곽이다. 행정 위계에 따라 읍성은 부성, 군성, 현성 등으로 구분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읍성이라 한다. 14) 읍성은 군사적 요해지이면서, 기존의 주요 교통로 상에 발달한 거주지 주민의
생활공간에 위치하였으며, 조선시대 초에 많이 축조되었다. 이후 임진왜란, 병자호란
을 거치며 성곽의 증축과 보수가 일어났다. 또한 지방 행정체제의 변화로 기존의 읍성이 사라지거나 신축되어 조선 초기의 읍성 수와 차이가 생겼다.
본고에서는 성벽이 훼철된 시기와 가까운 시기의 성곽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1893
년에서 1908년 사이에 간행된여재촬요15) 와증보문헌비고16) 에 나타난 읍성 수를
파악하였다.
[표 1] 훼철 이전 성곽의 현황
서울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
합계
4
(3%)
18
(12%)
30
(21%)
40
(28%)
9
(6%)
7
(5%)
18
(12%)
19
(13%)
146
4
(3%)
18
(13%)
30
(22%)
35
(25%)
9
(6%)
7
(5%)
17
(12%)
19
(14%)
140
출처 :增補文獻備考, 1908, 25∼30권;輿載撮要, 1893, 3권∼10권 참조.
14) 손영식, 앞의 책, 84, 117쪽.
15)증보문헌비고는 1903년부터 1908년 사이에 勅命으로 편찬되었다. 동국문헌비고의 증보판 으로, 상고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의 모든 제도와 문물을 16개 분야로 나누어 연대순으로 정리하였다.
16)여재촬요는 1893년에 吳宖默이 저술한 지리서로 세계와 우리나라 지리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1890년대의 전국 읍지를 요약·집성한 것이다.
17) 본고는 대체로 1893년에서 1912년의 시기를 다루는데, 이 시기의 서울은 한국병합이 이루 어진 1910년을 기점으로 漢城과 京城으로 나뉘었다. 이런 이유에서 앞으로 한성과 경성을 현재의 지명인 서울로 기재하겠다.
- 4 -

 러일전쟁 이후(1905∼1910) 도성·읍성 성벽의 훼철  / 김혜미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한양대학교 대학원,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석사)

posted by 조현정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