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정치적 기준 : 프랑스 혁명 18세기 중반의 프랑스 사회는 중세 이래의

조현정팀장 2016. 11. 26. 00:00

유럽 근대주택에서 나타나는 르네상스 팔라초(Palazzo) 주택의 공간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enaissance Palazzo representing modern European dwellings
2.3.1 근대의 개념
(1) 정치적 기준 : 프랑스 혁명 18세기 중반의 프랑스 사회는 중세 이래의 봉건적 잔재와 제도적 모순을 청산하 지 못하고 있었다. 귀족은 농민에게 과도한 개인적 봉사와 경제적 부담을 요구하고 있었다. 다른 나라에서와 같이 프랑스의 절대주의 체제는 효율적인 것이 아니었으며 도리어 복잡한 중앙집권적 행정제도의 압력을 받아 부패하였다. 소수 특권층인 귀족 과 성직자는 대부분의 국가 재원(財源)을 소유하고 고세를 피하면서 방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35)
1789년부터 1794년에 걸쳐 일어난 프랑스 혁명은 사상혁명으로서 시민혁명의 전형으로 부르주아들로 구성된 평민 대표들은 과다한 세금과 세금 한 푼 내지 않는 귀족과 성직자들의 횡포에 반발을 하게 된 것이다. 또한 루이 14세 이래의 대외전쟁 과 미국 독립혁명의 지원으로 인하여 재정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이를 타개할 능력이 없었던 것이 프랑스 혁명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부르주아를 중심으로 한 평민 대표들은 이렇게 독자적으로 국민 의회를 구성하고 프랑스 헌법을 제정할 때까지 해산하지 않을 것을 선서하였다. 이를 테니스 코드 선 서라 하며 절대왕권의 종말과 주권재민의 출발을 선언한 것이었다. 왕이 이를 무참 히 진압할 것이라고 하자 파리 시민들은 밤사이 무기고를 습격하고 무장하여 대항 하여 바스티유를 습격하였다. 그것은 구체제를 상징하는 감옥으로서 총격전 끝에 바 스티유 감옥이 함락되었다.
바스티유 습격은 군중심리에 의한 난동행위였으나 그 이래로 프랑스 혁명의 중요 한 신화가 되었다. 또 군중의 무법 대담한 폭력적 개입은 귀족계급의 방해공작을 분 쇄하는 효과를 보았다. 36)
35) 차하순, 서양사 총론, 탐구당, 2000, p. 68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