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식경, 2008, 대구읍성의 훼철과 일본인 상권의 변화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대한·송인호, 2015, 전차 개설에 의한 한양도성 문루 주변지역의 도시변화에 관한 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박창은, 2015, 돈의문 일대 시가지변화(1883∼1961) 와 성벽시설 훼손 연구 ,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정화, 2013, 의주로변 읍성도시의 도시형태 변화연구 황주, 안주, 의주의 지도 분석을 통한 도시형태 비교 , 경기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등이 있다. 지리학에서는 김기혁·김성희, 2002, 조선일제강점기 동래읍성 경관변화 연구 ,대한지리학회지제37권 제4호; 우승완·남호현, 2009, 광양읍성의 공간 구조에 관한 연구 ,호남문화연구, 제46권; 전근완, 1996, 日帝下 羅州面의 都市景觀變化 , 한국교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황영산·전경숙, 2015, 광주읍성 공간의 형성과 해체 그리고 재현 , 한국 도시지리학회지 18권 1호 등이 있다.
7) 임식경, 2008, 대구읍성의 훼철과 일본인 상권의 변화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기조, 2006, 일제하 대구부(大邱付) 시가지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김일수, 2015, ‘한일병합’ 이전 대구의 일본인거류민단과 식민도시화 ,한국학논집제59집.
10) 장명수, 1994,성곽발달과 도시계획 연구 전주부성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인정득·장 명수, 1985, 전주도시공간구조 변천에 관한 연구 가로망패턴과 상권형성을 중심으로 ,대 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제5권 제2호.
- 2 -
러일전쟁 이후(1905∼1910) 도성·읍성 성벽의 훼철 / 김혜미 이용률 보통
학위논문,한양대학교 대학원,석박사학위논문실(107호)
학위논문(석사)